google-site-verification: googlec33a90606416e72b.html LTV·DSR 완벽 해설 – 초보자도 쉽게 하는 2025 담보대출 계산법 총정리 | active

LTV·DSR 완벽 해설 – 초보자도 쉽게 하는 2025 담보대출 계산법 총정리

담보대출을 준비할 때 가장 혼란스러운 부분이 바로 LTVDSR입니다. 이 두 가지 용어만 정확히 이해해도, 은행 상담을 훨씬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“그게 뭐지?” “어떻게 계산하지?” 하고 막히기 마련이죠.

오늘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, 2025년 기준으로 LTV·DSR의 개념, 계산법, 실제 적용 예시를 하나씩 완벽하게 정리했습니다. 이 글 하나면 대출 상담 전 준비가 완벽해집니다 💡

 

 

 

 

LTV·DSR이란?


은행은 대출을 심사할 때 두 가지를 봅니다. “담보는 충분한가?” 그리고 “갚을 능력은 있는가?” 이 두 가지를 수치화한 지표가 바로 LTVDSR이에요.


  • 🏠 LTV (Loan To Value): 담보 가치 대비 대출 가능 비율
  • 💰 DSR (Debt Service Ratio): 연소득 대비 연간 부채 상환 비율

즉, LTV는 ‘얼마까지 빌릴 수 있는가’를 정하고, DSR은 ‘얼마나 갚을 수 있는가’를 제한합니다.



1️⃣ LTV 계산법 – 담보가치 기준 대출한도 구하기


LTV(Loan To Value)는 부동산의 감정가나 시세를 기준으로, 얼마까지 대출이 가능한지를 정하는 비율입니다.


📘 계산 공식: LTV = (대출금액 ÷ 담보가치) × 100


예를 들어 시세 5억 원 아파트의 LTV가 50%라면, 최대 대출 가능 금액은 2억 5천만 원입니다.


▶ 한도 계산: 5억 × 50% = 2억 5천만 원


하지만 지역이나 주택 유형에 따라 LTV 상한이 다르게 적용됩니다.


지역 구분 LTV 상한 비고
투기과열지구 40% 강남, 서초, 송파 등
조정대상지역 50% 수도권 대부분
비규제지역 70% 지방 및 신도시

즉, 같은 5억짜리 아파트라도 위치에 따라 대출 가능 금액이 다릅니다. 투기지역에서는 2억, 지방에서는 3억5천까지 가능하죠.



2️⃣ DSR 계산법 – 상환능력 기준 대출한도 구하기


DSR(Debt Service Ratio)은 개인의 상환능력을 수치화한 지표입니다. 연소득 대비 1년 동안 갚아야 할 모든 부채의 원리금 비율을 말하죠.


📘 계산 공식: DSR = (연간 부채 상환액 ÷ 연소득) × 100


2025년 현재 모든 은행은 DSR 40% 규제를 적용합니다. 즉, 연소득의 40% 이상을 대출 원리금 상환에 쓸 수 없다는 뜻이에요.


예시로 연소득 6,000만 원, 금리 4%, 30년 대출일 경우, 연간 2,400만 원(6,000만 × 0.4) 한도 내에서 상환이 가능해야 합니다.


▶ 대출 한도 계산: 연 상환액 ÷ 금리 = 대출 가능 총액 2,400만 ÷ 0.04 = 약 6억 원


하지만 실제로는 담보가치(LTV)와 함께 적용되므로, 두 기준 중 더 낮은 금액이 최종 한도로 결정됩니다.



3️⃣ LTV와 DSR을 함께 적용하는 실제 예시


아래 표는 실제 대출 심사에서 LTV와 DSR을 동시에 적용했을 때 최종 대출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줍니다.


사례 담보가치 LTV 한도 연소득 금리 DSR 한도 최종 한도
A씨 (서울) 6억 3억 (50%) 6,000만 4% 6억 3억 (LTV 기준)
B씨 (지방) 4억 2.8억 (70%) 3,600만 5% 3억 2.8억 (LTV 기준)
C씨 (고소득) 7억 3.5억 (50%) 1억 3.5% 10억 3.5억 (LTV 기준)

위 사례처럼 대부분은 LTV 한도가 먼저 제한을 걸지만, 부채가 많거나 소득이 적은 경우엔 DSR 한도가 더 낮아집니다.



4️⃣ LTV·DSR 쉽게 계산하는 3단계 팁


복잡한 공식을 몰라도, 아래 3단계만 기억하면 내 대출 가능 금액을 간단히 예측할 수 있습니다.


  • 담보 시세 × LTV 비율 → 최대 대출한도 계산
  • 연소득 × 0.4 → 1년 상환 가능 금액 계산
  • 연 상환액 ÷ 금리 → DSR 기준 대출 가능액 계산

마지막으로 ①과 ③의 결과 중 더 낮은 금액이 최종 한도입니다.


예를 들어, 시세 5억 아파트 소유 / 연소득 6,000만 / 금리 4%라면:


▶ LTV 기준 = 5억 × 50% = 2.5억
▶ DSR 기준 = (6,000만 × 0.4) ÷ 0.04 = 6억
👉 최종 한도 = 2.5억 원


즉, DSR보다 LTV가 더 보수적이기 때문에 실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담보가치로 제한됩니다.



Q&A


Q1. DSR이 높으면 무조건 대출이 거절되나요?

아닙니다. 일부 은행은 소득증빙이 명확한 경우 45%까지 허용하기도 합니다.


Q2. 신용대출도 DSR에 포함되나요?

네. 신용대출, 카드론, 자동차할부, 보증부대출 모두 포함됩니다.


Q3. 부부 공동명의 시 LTV가 달라지나요?

LTV는 동일하지만, DSR은 소득 합산으로 한도가 늘어납니다.


Q4. 자영업자는 계산법이 다른가요?

기본 원리는 같지만, 소득 인정률(약 70%)을 적용해 한도가 줄어듭니다.


Q5. LTV·DSR 완화 지역이 있나요?

비규제지역(일부 지방도시)은 LTV가 70%까지 완화됩니다.



결론 및 마무리


2025년 현재 LTV·DSR은 담보대출의 두 축입니다. LTV는 ‘빌릴 수 있는 한도’를, DSR은 ‘갚을 수 있는 능력’을 수치로 표현합니다. 이 두 기준을 이해하면 대출 상담에서 훨씬 주도적인 선택이 가능해집니다.


핵심 포인트는 간단합니다:


  • 💡 LTV로 담보가치 한도를 계산하고,
  • 💡 DSR로 상환 가능한 금액을 계산한 뒤,
  • 💡 둘 중 낮은 금액이 최종 대출한도라는 것!

이제는 은행 상담을 받기 전에 직접 계산해보세요. 아래 버튼을 눌러 금융감독원의 공식 계산기와 규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👇


 

 

 

다음 이전